ESG경영컨설팅

공급망 ESG 평가 대응

ESG 평가 개요

  • SG경영수준 진단은 “공급망 K-ESG 가이드라인(2022.12.03., 산업통상자원부)” 및 “ ESG자가진단시스템 2.0(2023.02.03., 중소벤처기업부)”을 기반으로 KEMSA가 개발한 “ESG경영 진단 Tool”에 의하여 실시됩니다.
  • ESG경영 수준 진단은 산업별, 대기업 협력사 또는 수출기업별로 특화된 진단 항목을 이용하여, 계량화된 ESG 경영진단 결과물을 제공합니다.

목적 및 근거·기준

목적

조직의 ESG 경영 이행 수준을 “공급망 K-ESG”기반으로 진단하여 “ESG 경영 전략” 수립 및 개선 사항을 도출/실행하여 조직의 ESG 경영 수준 제고 지원

근거·기준

“공급망 K-ESG가이드라인” 및 “자가진단시스템 2.0(중소벤처기업부)”의 진단기준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개발한 ⟪IAC GLOBAL ESG 경영 진단 Tool⟫을 활용

공급망 K-ESG 기반 진단 Framework

구분 세부내용
Step 1 사전검토 –ESG경영 증빙자료 점검(정량/정성 진단 항목 증빙 자료 점검
Step 2 ESG 경영 ‘공통진단 항목’ 점검 (29개 항목)
Step 3 ESG 경영 “산업별 특화진단 항목 ” 점검( 13개 항목)
ESG 경영 “대기업 협력사 및 수출기업 ” 특화 진단 항목 점검(27개 항목)
Step 4 진단 항목별 세부 분석
Step 5 하위 평가 진단항목 분석 및 개선 방안 제시
Step 6 ESG경영전략 구축 및 개선에 대한 제언
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“ESG경영전략” 수립 지원

공급망 ESG 프로세스

ESG 프로세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