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SG경영교육

역량강화(보수)교육

Ⅰ. ESG 경영 진단 Tool 개발 전문가 교육

교육 목적
  • 대내외 공급망 ESG 경영 트렌드 및 경영 수준 진단·평가 이니셔티브 이해
  • 조직 스스로의 ESG경영 수준 진단 Tool 설계·운영 및 자가 진단 보고서 작성 능력 학습
교육 대상
  • 조직내 ESG 경영(지속가능경영) 실무자/관리자 또는 컨설턴트 활동 희망자
  • 조직내 ESG 경영 진단 및 ESG 경영 정책 수립 실무자
교육 시간표
  • 1일차 09:00~18:00
교육 주요 내용
  • 대내외 진단/평가 이니셔티브 분석(이론)
  • 공급망 K-ESG 자가진단시스템 (K-Doctor) 분석(이론)
  • 진단 실습
  • 진단보고서 작성(이론/실습)
교육 내용
일자 시간 주요내용 세부내용
1일차 09:00~09:20
  • 오리엔테이션 및 자격과정 소개
  • 교육 일정 및 진행사항 안내
09:20~10:30
  • 공급망 실사 개요 및 트렌드
  • Global 공급망 실사법 추진 현황 및 대응 방안
  • 공급망 ESG와 산업별 협의체 현황
  • 공급망 실사의 효과적 활용 방안 및 기업의 대응 방안
10:30~12:00
  • EcoVadis 평가 개요 및 평가 등급 획득 핵심 포인트
  • 공급망 ESG/CSR에서 EcoVadis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
  • EcoVadis 개요와 평가 프로세스
  • EcoVadis 평가 사례
  • 평가 등급 획득 핵심 포인트
13:00~15:00
  • EcoVadis 5개 부문별 평가 실습
  • 설문항목별 증빙 장표, 매뉴얼 등록 방법
  • 5개 평가 분야별 설문 평가 내용 및 요구사항
  • 각 설문 항목별 업로드 장표 내용
15:00~16:00
  • RBA 행동규범(RBA VAP 7.0) 평가 개요
  • RBA 평가 개요
  • 5개 평가 분야별 평가 항목의 이해
  • RBA 평가 사례 및 평가 등급 획득 방안
16:00~17:30
  • RBA 5개 부문별 평가 실습
  • RBA 평가 실습
  • 자가진단(SAQ), 증빙 장표, 매뉴얼 등록
  • RBA 현장 평가 대응 방법
17:30~18:00
  • 강의 종합/리뷰
  • 질의 응답 및 종료
* 본 교육과정은 사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

Ⅱ. 공급망 ESG 전문가 교육

교육 목적
  • 대기업 협력사 및 수출기업 스스로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를 발굴, 개선 및 관리하여 공급망 ESG 리스크 선제적 예방 및 대응력 제고
  • 대내외 공급망 ESG 평가 대응을 위한 전략적인 시스템 구축 및 문서화된 정보 관리로 높은 수준의 ESG 공급망 평가 득점
교육 대상
  • 조직내 ESG 경영 관리자/담당자 또는 ESG경영 분야 전문가로 활동하고자 하는 컨설턴트
  • ESG/CSR 기본 교육 이수자 또는 관련 일정 수준의 선수 학습을 보유한 자
교육 시간표
  • 1일차 09:00~18:00
교육 주요 내용
  • 공급망 실사 개요 및 트렌드
  • EcoVadis 평가 개요 및 평가 등급 획득 핵심 포인트
  • EcoVadis 5개 부문별(일반, 환경, 노동 및 인권, 윤리, 지속가능구매) 평가 실습
  • RBA 행동규범(RBA VAO 7.0) 평가 개요
  • RBA 5개 부문별 평가 실습
교육 내용
일자 시간 주요내용 세부내용
1일차 09:00~09:20
  • 오리엔테이션 및 자격과정 소개
    교육 일정 및 진행사항 안내
09:20~10:30
  • 공급망 실사 개요 및 트렌드
  • Global 공급망 실사법 추진 현황 및 대응 방안
  • 공급망 ESG와 산업별 협의체 현황
  • 공급망 실사의 효과적 활용 방안 및 기업의 대응 방안
10:30~12:00
  • 대외 공급망 ESG 진단/평가 이니셔티브 및 국내 공급망 ESG 진단 Tool과의 비교
  • 대외 공급망 ESG/CSR 진단/평가 체계 및 항목
  • 국내외 공급망 ESG 진단 평가 사례비교
  • 공급망 K-ESG 가이드 라인 분석
  • ESG 자가진단시스템 V2.0 체크리스트 분석
13:00~15:00
  • 공급망 ESG 수준 진단 Tool 설계 방법론
  • 설문항목별 증빙 문서, 절차서 및 매뉴얼 작성
  • 평가 분야별 설문 평가 내용 작성
  • 각 설문 항목별 진단/평가 로직 작성
15:00~16:00
  • 공급망 ESG 수준진단 Tool 설계 및 작성 실습
  • 공급망 K-ESG가이드라인(산자부)기준작성
  • ESG 자가진단 시스템 V2.0(중기부)기준 작성
16:00~17:30
  • 공급망 ESG 수준 진단 보고서 작성
  • 자가 진단/평가 결과 기준 “진단보고서” 작성 실습
  • 진단 실습 및 진단보고서 발표 및 토론
  • 강의 종합/리뷰
  • 질의 응답 및 종료
* 본 교육과정은 사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

Ⅲ. 탄소중립(온실가스 인벤토리 시스템) 전문가 교육

교육 목적
  • 조직 내 사업장의 온실가스 산정 방법 및 인벤토리 구축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 작성 방법 이해
교육 대상
  • 조직 내 ESG 경영 (지속가능경영) 실무자/관리 또는 컨설턴트 활동 희망자
  • 조직 내 탄소 중립/온실가스 관련 실무자
교육 시간표
  • 1일차 09:00~17:00
  • 2일차 09:00~18:00
교육 내용
일자 시간 주요내용 세부내용
1일차 09:00~09:20
  • 오리엔테이션 및 자격과정 소개
  • 교육 일정 및 진행사항 안내
09:20~10:30
  • 기후변화 주요 정책 및 동향 이해
  • 기후 변화 협약 흐름 및 주요 내용
  •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 정책 및 제도
10:30~12:00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이해
  • 온실가스 산정 기준 이해
  •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원칙
13:00~14:00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절차
  • 사업장별 6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실습
14:00~17:00
  • 온실가스 종류 및 배출원 이해
  • 6대 온실가스 종류 및 사업장 내 배출원 분류 및 확정
2일차 09:20~10:30
  • 직접 배출원 및 배출량 산정 방법(Scope1)
  • 고정연소, 이동연소, 공정배출, 탈루 배출 등
10:30~12:00
  • 간접 배출원 및 배출량 산정 방법(Scope2)
  • 전기 사용, 구매 스팀 및 온수 등
13:00~14:00
  • 기타 간접 배출 종류(Scope 3)
  • Scope3 배출 종류( 15개 카테고리) 및 산정 방법
14:00~16:00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보고서 작성 방법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보고서 작성 방법 (이론 강의)
16:00~17:30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종합 실습
  •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 작성 실습
17:30~18:00
  • 종합 정리
  • 강의 종합 정리 및 질의 응답
* 본 교육과정은 사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

Ⅳ. ESG경영보고서(지속가능경영보고서) 작성 실무자 교육

교육 목적
  • 2021년 개정판인 GRI Standards(2023년도부터 적용)을 중심으로 통합 보고, TCFD, SASB 등 각종 ESG 이니셔티브의 공시 적용을 위한 기술적이고 실무적인 노하우 진단
  • 사업 수행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리스크 요인에 대한 해결 방안 제시
  • 국내 대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례 연구 및 작성 실습을 통하여 관계자의 보고서 작성 역량 제고
교육 대상
  • 조직 내 ESG 경영 (지속가능경영) 및 사회공헌 실무자/ 관리자 또는 컨설턴트 활동 희망자
  • ESG/CSR 기본 교육 이수자 또는 관련 일정 수준의 선수 학습을 보유한 자
  • 관련분야   유관 기관 관계자 또는 조직 내 ESG 경영(지속가능경여) 정책 수립자
교육 시간표
  • 1일차 09:00~18:00
교육 내용
일자 시간 주요내용 세부내용
1일차 09:00~09:20
  • 오리엔테이션 및 자격과정 소개
  • 교육 일정 및 진행사항 안내
09:20~10:30
  • Global 보고서 공시 및 평가 기준
  • 보고서 공시 Global Initiative 종합 정리(GRI VRF, TCFD 등)
  • 2023년 적용 GRI 공시 기준 개정 내용
  • 2023년 적용 ISSB공시 기준 개요
10:30~12:00
  • 지속 가능경영보고서 A to Z
  • ESG 보고서(지속가능경영보고서) 작성 절차
  • 보고서 작성 프레임 워크 기획 방법
  •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
  • 대기업/공공기관/중소기업의 맞춤형 작성 방안
13:00~14:00
  • 보고서 사례 연구
  • ESG 경영보고서(지속가능경영보고서) 사례 연구 과제 발표
  • 대기업 및 중소기업 보고서 분석
14:00~17:00
  • 보고서 작성 실습 및 발표
  • ESG경영보고서I(지속가능경영보고서) 작성 실습
  • ESG경영보고서I(지속가능경영보고서) 과제 발표
17:00~18:00
  • 교육과정 종합 정리
  • 교육 과정 진행 결과 설명
  • 토론 및 의견 교환
* 본 교육과정은 사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

Ⅴ. ESG경영연계 ISO 인증 전문가 교육

교육 목적
  • ESG 경영의 지속가능성 확보는 조직의 경영시스템을 표준화 하여 대내와 경영환경 변화에 자발적/능동적 대응 능력을 내재화 하여야 함
  • 공급망 ESG 진단 및 평가 대응 조직의 핵심 항목별 ISO 인증은 조직의 지속가능성 주요 증빙 자료로 활용됨으로 조직 경영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인증이 필수적임
교육 대상
  • 조직 내 ESG 경영 (지속가능경영) 주요 항목별 ISO 담당 실무자/관리자 또는 내부 감사인 지명자
  • ISO인증 심사원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컨설턴트 희망자
교육 방법 및 기간
  • 각 규격 별 대면 교육( 2일)
교육 과정 및 주요 교육 내용
인증 규격 주요 교육내용
14001 (환경경영시스템)
  •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심사 및 ISO 14001 개요, 요구사항 해설/ 국제표준화 기구와 용어 정의, 환경과 환경경영
  • HLS, 조직상황, 리스크 기반 사고, 프로세스 접근방법/ ISO 14001:2015 요구사항 해설, 지원기법 및 사례 실습
45001 (안전보건경영시스템)
  •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심사 및 ISO 45001 개요, 요구사항 해설/ 국제표준화 기구와 용어 정의, 안전보건과 안전보건경영
  • HLS, 조직상황, 리스크 기반 사고, 프로세스 접근방법/ ISO 45001:2018 요구사항 해설, 리스크/기회 평가 및 사례 실습
9001 (품질경영시스템)
  • ISO 9001의 요구사항 이해, HLS, 심사스킬 학습, 심사절차와 프로세스 접근 방법 습득, 부적합 조항 검색, 심사용어와 원칙
  • 심사원의 적격성, 심사 프로그램 관리
* 본 교육과정은 사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